전체 글(71)
-
임신중독증
임신중독증은 임신 중에 고혈압과 단백뇨가 발생하는 경우로 사용되지만 정확한 의학용어는 아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임신 중독증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지 않고 임신 중 발생하는 연속적인 고혈압성 질환을 말하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전자간증(자간전증) 만을 의미합니다. 첫 번째는 고혈압이 임신 전 혹은 임신 20주 이전에 발생한 경우로 만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는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 고혈압이 발생하고 출산 12주 안에 정상이 되는 경우를 임신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세 번째는 단백뇨가 동반되는 경우를 전자간증 (자간전증)이라고 합니다. 네 번째는 자간증으로 고혈압, 단백뇨에 더해서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가장 심각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복합된 자간전증으로 만성고혈압을 가진 임신..
2020.07.22 -
체지방분해 유산균, 락토바실러스복합물,
유산균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하면서도 종류도 너무나 많고 한국산이 좋은 건지, 아이들이랑 먹을 땐 어떤 걸로 먹어야 하는지 궁금할 때가 많았는데요. 또 알아보려고 찾아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균에 대한 설명들이 많더라고요. 유산균이 뭔지 어떤 유산균이 좋은지 쉽게 쉽게 알아보기로 해요~~ 유산균은 우리 몸을 건강하게 도와주는 작은 생물이에요. 유산균은 창자 속에 살면서 해로운 세균을 물리치는 성질이 있어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세균이에요. 유산균은 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주고 변비를 예방하는 역할을 해요. 이렇게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다른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요.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유산균이 창자 속에 많이 살도록 하는 방법이 있어요.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과일이나 채소를 많이 먹으면 좋아..
2020.07.21 -
여성 갱년기 증상과 대처법, 완화를 위한 음식과 운동
갱년기란 노화 또는 질병에 의해 난소 기능이 쇠퇴하면서 폐경과 관련된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겪는 시기를 말합니다. 여성은 45세~55세가 되면 생식기관인 난소 기능이 저하되면서 여성호르몬 분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어 발생합니다. 월경주기와 기간, 양이 불규칙하다가 1년 이상 월경을 하지 않세 되면서 폐경이 됩니다. 이와 함께 혈관 운동 조절의 변화로 얼굴과 상체가 화끈거리는 느낌이 자주 발생하고, 식은땀이 많고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수면장애도 나타납니다. 뼈의 보호 작용을 하는 여성호르몬의 분비 변화로 뼈의 밀도가 낮아져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뼈와 근육의 통증도 발생하게 됩니다. 비뇨생식기 위축으로 인해 성욕감퇴와 성교 시 불편감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여성호르몬 분..
2020.07.20 -
만성표재성위염, 미란성위염
매해 봄이면 건강 종합검진을 하는데 올해도 역시 만성 표재성 위염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인은 정말 이 위염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민족인 건가?........ 한 해는 만성표재성 위염, 다른 한해는 미란성위염, 어떤 해는 역류성 식도염..... 10년 이상을 이 결과가 연속되고 있다. 올해는 이 증상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고쳐보려고 한다. 한해 걸러 아니 연이어 나온 이 증상을 이제 더 이상 이대로 내버려 둬서는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위염에 관한 모든 것을 알아보아야겠다. 표재성 위염이란 만성위염의 한 형태로서 위 점막이 출혈과 작은 미란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만성위염입니다. 만성위염은 그 증상에 있어서 특별한 점은 없으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진..
2020.07.19 -
췌장암의 증상과 치료
극악의 생존율로 알려진 췌장암은 어떤 병일까요? 췌장암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이)입니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췌관의 샘세포에 암이 생긴 선암입니다.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기에,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 선암을 말합니다. 선암이란 선세포, 즉 샘세포에서 생기는 암을 가리킵니다. 췌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증상이 차이가 있습니다. 췌장암의 가장 큰 문제는 진단이 쉽지 않다는 점인데, 암 덩어리가 어느 정도 커질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증상이 있을 때는 이미 인근 장기로 암세포가 퍼져 있어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에 췌장암을 발견하는 경우는 전체의 15%에 불과하며, 초기에 증상이 있더라도 소화불량,..
2020.07.17 -
증여절차, 등기신청,셀프등기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엎치락뒤치락 너무 많이 바뀌어 헷갈리실 텐데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부부 공동명의나 증여에 관해 궁금해하실 겁니다. 증여에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는 배우자는 6억 원, 직계 존/비속은 5천만 원(단, 미성년자는 2천만 원), 기타 친족은 1천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 이 금액은 증여재산에서 기본으로 공제되는 금액이며 증여세 면제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년간 합산 금액에 대하여 증여세를 산정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에게 7년 전에 4억 원을 증여하고 이번에 6억 원을 추가로 증여하면, 6억 원 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되지만 추가로 증여하는 4억 원은 증여세가 과세되는 것입니다. 증여세 세율은 1억원 이하 10%부터 30억원 초과분은 최대 50%까지 세율이 부과됩니..
2020.07.16